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취업플러스

[벼룩시장 조사] 중장년 퇴직자, 재취업까지 얼마나 걸릴까? 2021.09.08



40세 이상 중장년 근로자 2명 중 1명은 퇴직 후 재취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벼룩시장이 40세 이상 중장년층 1,141명을 대상으로 '경제활동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는데요.

응답자의 69.4%가 '현재 경제활동을 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이들 중 54.5%는 '퇴직(권고사직, 명예퇴직 등 포함) 후 재취업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퇴직 후 재취업한 응답자들은 재취업에 성공하기까지 평균 13.8개월이 소요됐다고 답했는데요. 입사 지원한 횟수는 평균 7.5회였습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40대가 재취업에 성공하기까지 소요된 기간은 12개월, 입사 지원한 횟수는 8.1회로 조사됐습니다.


50대는 13.6개월간 7.3회, 60대 이상은 19.1개월간 6.4회로 나타나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취업에 소요되는 기간은 길어지고 입사 지원 횟수는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퇴직 후 재취업에 성공한 이들을 포함한 중장년 근로자의 월 평균 근로소득은 평균 264만원으로 집계됐는데요.

연령별로는 40대가 289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50대 247만원, 60대 이상이 179만원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성별로 살펴보면 여성이 225만원, 남성이 303만원으로 남성의 월 평균 근로소득이 78만원 더 높았습니다.


고용형태를 살펴보면 정규직이 64.9%, 비정규직이 35.1%로 정규직 비중이 두 배 가량 높았으나,

퇴직 후 재취업한 근로자들만 따로 살펴보면 정규직이 46.3%, 비정규직이 53.7%로 비정규직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 직장에서의 근무기간은 ▲10년 이상이 30.8%로 가장 많았으며, ▲1~3년 미만(25.5%), ▲3~5년 미만(18.6%), ▲5~10년 미만(16.9%) 순으로 이어졌습니다. 퇴직 경험에 따라 살펴보면 퇴직 경험이 없는 근로자의 경우 ▲10년 이상(57.5%) 장기간 근무했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던 반면, 퇴직 후 재취업한 근로자의 근무기간은 ▲1~3년 미만(41.2%)으로 다소 짧았습니다.




중장년층 근로자들은 경제활동을 하는 가장 큰 이유로 ▲생계유지 등 경제적 사정(40.4%)을 꼽았는데요. ▲충분히 일할 수 있는 나이여서(26.8%)라는 답변도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노후자금 마련을 위해(11.6%), ▲소득 안정을 높이기 위해(5.1%), ▲자아성취, 사회활동 참여를 위해(5.1%) 순으로 이어졌습니다.


한편, 퇴직 후 경제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들의 퇴직 사유 1순위는 ▲명예퇴직·구조조정(34.4%)으로 나타났습니다.

다음으로 ▲새로운 일을 해보고 싶어서(15.8%), ▲자녀, 부모님 등 가족을 돌보기 위해(14.9%), ▲정년퇴직 나이가 돼서(14.6%), ▲건강이 좋지 않아서(13.8%) 순으로 이어졌으며, ▲일을 그만둘 나이가 된 것 같아서(5.2%), ▲노후 자금을 충분히 마련해서(1.4%) 등의 답변도 있었습니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녀 모두 1순위는 ▲명예퇴직, 구조조정(각각 32.3%, 36.9%)으로 동일했으나, 2순위의 경우 남성은 ▲정년퇴직 나이가 돼서(24.3%), 여성은 ▲가족을 돌보기 위해(29.4%)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습니다.


직장을 그만둘 당시 평균 나이는 50.0세였는데요. 남성의 경우 51.9세, 여성은 47.6세로 여성의 평균 퇴직 나이가 남성보다 4.3세 가량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재 주요 수입원을 묻는 질문에는 ▲가족 구성원의 근로소득(26.6%)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으며, ▲예·적금(23.2%), ▲국민연금(17.2%), ▲퇴직연금(15.5%)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밖에 ▲개인연금(6.6%), ▲부동산 임대수익(6.6%), ▲부동산 담보대출(4.3%) 등의 답변도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