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망 자격증 - 농산물품질관리사 2015.04.08
농산물품질관리사란 농산물의 효율적인 유통 질서 확립과 농산물 유통 개선을 위한 유통 정보의 확산을 위해 일하는 농업 분야 전문가를 말한다.
농산물품질관리사의 주요 업무를 살펴보면 농산물의 등급을 판정하고 농산물의 출하 시기를 조절하며, 품질관리 기술 등에 대한 자문을 하기도 한다.
이외에도 농산물의 선별이나 저장 및 포장시설 등의 운용 관리, 상품성 향상 및 포장 농산물의 표시 사항 준수에 관한 지도, 농산물의 규격 출하 지도 등 농산물의 품질 향상 및 유통 효율화에 필요한 업무를 수행한다.
농산물품질관리사 자격시험
농산물품질관리사 자격제도는 농산물의 판매 및 유통 과정에서 부가가치를 적극 창출해 농가소득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우수한 농산물 유통 전문 인력을 발굴·육성하기 위해 2002년 도입됐다.
국가 전문 자격증으로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시행한다. 응시 자격에는 제한이 없으며, 1차 시험과 2차 시험에 모두 합격해야 한다.
1차 시험은 농산물품질관리법령 및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 안정에 관한 법률과 원예작물학, 수확 후의 품질관리론, 농산물유통론 등 4과목을 평가한다. 과목당 25문항씩 총 100문항이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출제되고, 시험 시간은 120분이다. 합격 기준은 매 과목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을 득점하면 된다.
2차 시험은 농산물품질관리 실무와 농산물등급판정 실무로 단답형 20문항과 서술형 10문항 등 총 30문항이 출제된다. 시험 시간은 120분이다. 농산물품질관리 실무 과목은 단답형과 서술형 문제가 출제되고, 농산물등급판정 실무 과목은 서술형 문제가 출제된다.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60점 이상을 득점해야 한다.
농산물품질관리사 자격시험 합격 전략
△ 인터넷 커뮤니티를 적극 활용할 것 : 농산물품질관리사의 경우 자격시험 공부를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카페나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교재 선택이나 공부 방법, 시험 후기, 합격 수기 등 조언을 얻는다면 전략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 기출 문제를 풀어볼 것 : 기출 문제를 풀어보면 자신의 실력 수준 파악과 학습 전략 수립 등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농산물품질관리사 자격증 취득을 준비하기 전 기출 문제를 먼저 풀어보는 것이 좋다.
△ 자신에게 맞는 교재를 선택할 것 : 직접 교재의 편제와 내용 등을 보며 자신에게 맞는 교재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특히 전공자가 아니고 이 분야에 처음 도전하는 수험생이라면 교재의 내용이 상세하게 서술돼 있고 이해하기 쉬운 교재를 선택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 주관식 시험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할 것 : 2차 시험은 단답형과 서술형 문제로 출제된다. 특히 서술형 문제의 경우 길게 쓰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핵심을 짚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때문에 학습을 하면서 확실한 개념 이해와 함께 중요 키워드는 반드시 숙지를 해둬야 한다. 기출 문제를 풀어보면서 시험 유형에 익숙해지는 연습을 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된다.
△ 법률, 규정 문제에 신경 쓸 것 : 법률이나 규정 등을 적용해 답을 구하는 문제는 ‘시험공고일’ 현재 시행된 법률이나 규정 등을 적용되기 때문에 법률 개정 여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농산물품질관리사 자격증 취득 후 활동
자격증 취득 후 농산물을 취급하는 대형 유통업체나 공공기관, 지역농협 등에 취업해 농산물품질관리원 등으로 활동할 수 있다.
농산물을 취급하는 공공기관과 농협에 취업할 경우 인사 고과나 수당·승진 등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농업직 9급 국가 공무원 채용 시 3%의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
농산물품질관리사의 전망
정부가 농산물품질관리사를 고용하는 산지나 소비지, 유통시설의 사업자에게 필요한 자금의 일부를 정책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두고 있어 향후 농산물품질관리사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 제공: 에듀윌(www.eduwill.net)
김소라 기자 ksr8503@mediaw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