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르치거나 배우고 싶은 사람 연결 2015.09.03
온라인에서 가르치고 싶은 사람과 배우려고 하는 사람을 매칭시켜주는 교육 사업이다.
온라인 동영상 강의 시장은 시장 규모가 크고 활성화돼 있으나 주로 어학 분야에 집중돼 있다.
또 각 전문 분야마다 동영상 강의가 일반화돼 있으나 강사의 자격이나 조건은 일정한 기준이 있어서 강사로 진입이 까다롭다.
이 사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일반인 누구나 강사가 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면서 강의 과목도 매우 다양하게 구성해 강사가 직접 강의 주제와 강의 비용도 결정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강의에 대한 매칭 시스템이 획기적이고 학력의 차별 없이 강사가 되는 길을 허용하는 점에서 기존 온라인 교육 사업과 확실한 차별성을 확보한 아이템이다.
특징 및 차별성
온라인에서 가르치고 싶은 사람과 배우려고 하는 사람을 매칭시킨다.
강사로 등록하기 위한 특별한 자격이나 조건은 없다.
한가지라도 잘하는 능력만 있다면 강사로 등록해 학생들을 모집하고 강의를 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돼 있다.
분야는 IT에서부터 요리·회화·만들기 등 매우 다양하고, 학생이 모집되면 원하는 장소에서 강의를 들을 수 있으며 수강료는 강사가 임의로 정한다.
누구나 자기 분야에서 강의할 실력이 있다면 강사로 활동이 가능하고 장소 또한 제한이 없다는 점에서 기존의 온라인 강의 사업과 차별되는 새로운 형태의 교육 매칭 사업이다.
이 사업은 이미 온라인 교육 시장에서 일부 시행하고 있는 사업으로 볼 수 있으나 매칭만을 전문으로 하는 교육 사업은 아직 없다.
따라서 지금의 학습 온라인 시장과 별도로 성인 교육생만을 대상으로 하면서 기존의 온라인 교육 사업에 매칭 교육을 접목하면 독자적인 교육 매칭 사업으로 새로운 교육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아이템이다.
또 자기 자금이 부족한 20~30대 교육 관련 전공자에게 창업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사업이다.
수익성 및 성장 가능성
교육 사업은 바쁜 직장인들의 자기 개발을 위해 또는 학생들에게는 미래를 위해 필요한 영역이므로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그리고 매칭 사업은 이미 서비스 시장에 있어서 일반화돼 있고 맞춤식 판매 형식은 소비자가 선호하는 시장으로 성장하고 있는 문화 트랜드를 고려해야 한다.
적은 비용으로 내가 원하는 강사를 골라서 직접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매칭된 교육 사업은 기존의 시장과 경쟁을 피하면서 틈새 교육 수요를 표적으로 하는 이색 사업으로 장기적인 성장성이 높은 아이템이다.
리스크 요인 및 대응 방안
온라인상에서 교육을 필요로 하는 수강생과 강사를 매칭시켜주는 프로그램이므로, 사업 시 준비 과정에서 특별한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창업이 용이하므로 기존의 교육 관련 업체가 쉽게 진입이 가능한 분야이다.
따라서 단순한 매칭 사업 이외에 자체 강의 콘텐츠를 개발해 독자적인 강의 프로그램 운영으로 부가적인 수익 모델을 확보해 매칭 사업과 함께 안정적인 수익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새로운 경쟁 체제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사업 시스템이 단순하기 때문에 모방 창업이 가능하므로 이색적인 강좌를 개설하고 부가 서비스를 개발해 교육생들이 지속적으로 강좌에 대한 매력을 느껴 장기적인 교육생으로 등록되도록 운영하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더불어 동시에 초기 사업 시 수익성이 불안정할 수 있으므로 대대적인 강좌 소개를 위한 행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해 새로운 성인 교육 수요를 확보하는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관련 시장 동향 및 성공 전략
온라인 강의는 이미 일반인들에게 친숙한 시장으로 인식돼 있으나 강좌의 종류나 다양성이 한정돼 있고 강사 기준 또한 매우 엄격해 교육 서비스가 만족스럽지 못하다.
따라서 이 사업은 지금의 온라인 교육 시장의 한계점을 보완하면서 다양성을 강화하고 차별화할 수 있는 사업으로 볼 수 있다.
단순한 매칭 사업이지만 성공적인 사업 운영을 위해서는 교육에 대한 전문적인 이론과 경험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강의 프로그램과 강사의 자질 등에 대한 철저한 사전 준비를 통해 성인 대상의 온라인 교육 시장으로 특화시켜 시장을 창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정리 : 박미영 기자 na2000@mediawill.com
자료 출처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www.semas.or.kr)
창업 관련 문의 : idea@semas.or.kr